자취를 시작하면 부모님이 왜 미리미리 분리수거하고 음식물 쓰레기를 정리를 해놓으라고 했는지 조금씩 이해가 가기 시작합니다. 그러다 시간이 좀 지나면 쓰레기는 줄이고 싶고 음식물 쓰레기는 넘쳐나는데 이건 음식물쓰레기 인지? 아닌지? 아리송한 음식물(?)이 나오곤 합니다. 과연 뼈는? 과일 껍질은? 어떨까요?
1. 음식물 쓰레기란?
음식물 쓰레기란 식품을 소비하고 남은 음식물을 뜨샇며 이 또한 다른 쓰레기들과 마찬가지로 동시에 처리 비용이 들기 때문에 다른 쓰레기와 달리 별도로 수거하여 처리하는 방식으로 나라에서 운영중입니다.
2. 음식물 쓰레기 분류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라면 우리 인간들이 먹고 남은 것들은 모두 음식물 쓰레기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지만 사실 음식 모두가 해당하는것은 아닙니다. 이때 음식물 쓰레기 기준을 가장 쉽게 구별할 수 있는것이 지금 남은 음식물이 동물들이 먹을 수 있는가? 아닌가? 입니다.
아무리 음식물 쓰레기인듯 하여 뼈나, 껍질등 과 같이 동물들이 먹을 수 없는것은 일반 쓰레기로 분리수거 하시면 되겠습니다.
※ 음식물 쓰레기가 아닌 것
- 어패류 : 조개, 가리비, 멍게 등 패류 껍데기
- 어패류 : 게, 가재 등 가각류의 껍데기
- 어패류 : 생선가시
- 장류 : 된장, 쌈장, 고추장
- 찌꺼기 : 1회용 티백, 각종 차류 찌꺼기, 한약재 찌꺼기
- 채소류 : 무, 쪽파, 대파, 미나리 등의 뿌리
- 채소류 : 양파, 마늘, 생강 껍질
- 채소류 : 옥수수 껍질 및 속대, 고추씨, 고추대
- 육류 : 돼지, 소, 닭 등의 뼈 또는 깃털
- 알껍질 : 달걀, 메추리알, 오리알 등의 껍데기
- 곡류 : 왕겨(벼의 겉껍질)
- 과일류 : 복숭아, 살구, 감 등
- 과일류 : 딱딱한 껍질이 둘러싼 과일의 씨
- 과일류 : 땅콩, 밤, 호두, 도토리, 파일애플 등의 딱딱한 껍데기
3. 음식물 쓰레기 버리는 방법
- 이물질과 물기는 최대한 제거하고 배출
- 소금성분이 많은 디장, 김치, 간장 등은 물로 충분히 행구고 배출
- 비닐, 병뚜껑, 이쑤시개 등의 물질은 제거 후 배출
아리송한 음식물 쓰레기 버리는 기준 어느정도 정리가 되셨나요? 혼자살면서 혹은 결혼하면서 알게되는 나가는 돈들이 어찌이리 많은지 하나하나 모이면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인데요 음식물 쓰레기 분류 기준으로 음식물 쓰레기 배출 비용 줄이세요!
'세상살이 > 세상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석, 설날, 제사 필수상식 제사상 차리는법 (0) | 2016.08.18 |
---|---|
로또1등 당첨자 가장 많이 나온 전국 로또명당 총 정리 (0) | 2016.08.17 |
법령과 시행령의 차이, 그리고 시행규칙 (0) | 2016.08.11 |
전기요금 폭탄을 대비한 누진세 계산방법 (0) | 2016.08.08 |
그 시절 우리들의 5대 얼짱 (0) | 2016.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