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살이/티스토리

구글광고 애드센스의 CPC와 RPM에 대해 알아보자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본 블로그를 클릭해서 들어오신 분이시라면 이미 구글의 애드센스에 대한 기본 이해도는 어느정도 있으신 분들일겁니다. 아니면 블로그 또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면서 발생하는 수익원인 CPC와 RPM 등이 무엇인지 또는 구글 애드센스는 당최 뭐길래 수익을 발생시키고 블로그 운영자에게 나눠 주는건가? 라는 단순한 호기심에서 들어오셨을수도 있겠죠? 저도 단순히 블로그만 열심히 운영했지 이런 세부적인 전문용어에 대해서는 상세히 알지못해 이번 기회에 한ㅂ 번 정리해 봅니다. 많은 도움 되시기를 바랍니다!


[관련포스팅] 2016/06/09 - [세상살이/티스토리] - 블로그로 돈 버는 법 인돈사에서 배워보자(애드센스 스쿨)

[관련포스팅] 2016/06/20 - [세상살이/세상이야기] - 퇴근하고 투잡으로 집에서 돈버는 방법!









1. CPC(Cost Per Click)

CPC는 블로그 및 웹에 유입된 사용자(네티즌)들이 애드센스에서 제공한 광고배너를 클릭할 때 마다 애드센스 광고를 게시한 게시자에게 발생되는 수익을 뜻합니다.


즉, 1클릭당 발생하는 광고수익 인거죠


광고단가는 광고를 요청한 광고주에 의해서 결정되며 경쟁이 치열한 금융, 보험 등의 키워드일수록 CPC 단가가 높아지게 됩니다.


기본적으로 문맥, 관심 기반으로 광고가 송출되는 만큼 우리 블로거 들은 그렇다면 CPC를 높이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할까? 라고 생각하실 텐데요, 이부분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히 따로 다루도록 하겠지만 쉽게 한마디로 설명하자면 블그에서 포스팅을 할때 마다 굉장히 신경써서 나만의 독자적인 컨텐츠를 제작한다는 느낌으로 정성스럽게 포스팅하면 자연스레 CPC 단가는 높아지게 됩니다.

(이제 막 애드센스에 입문한 초심자 들은 무슨 당연한 소리를 너만 아는것 처럼 떠드는거냐 라고 하실 수 있겠지만 이게 진리입니다.)




2. RPM(Revenue Per thousand iMpressions)

RPM은 1,000번의 페이지 뷰 당 발생하는 수익으로써 유입율이 많을수록 높아지는 수익입니다.

공식으로 보여드리자면


RPM단가 X (발생된 페이지뷰/1,000) = RPM 수익


위와 같습니다.

즉, RPM 단가가 1달러라면 페이지뷰가 1,000이 발생한다면

오늘의 RPM 수익은 1달러가 되는거죠,


당연히 2,000페이지뷰가 발생하면 RPM 수익도 2달러가 됩니다.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수익을 발생시키고자 만든 구글 애드센스를 처음하다 보면 단순히 유입율, 즉 사람이 많이 들어오면 대박이다 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 1,000명이 들어와서 CPC 단가 0.01달러 100번 클릭하는것보다 1명이 들어와도 CPC 단가 1달러 짜리를 클릭해주는게 더 큰 이익이 됩니다.


그렇다면 앞서 이야기한것처럼 CPC 단가를 높이고 블로그 체류기간을 높이는것만이 수익향상과 직결되는 부분인것을 모두들 깨닳게 될것입니다.


쉽고도 어려운 구글 애드센스, 공부에 공부하는수밖에는 답이없습니다.

모두들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