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습생활/IT

빠르고 좋은 하드디스크 선택방법 추천(HDD DISK)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막상 고르려고 보면 얼마안나는 가격차이로 더 좋은 성능을 가진 하드디스크들 게다가 HDD 시대를 넘어 이제는 SSD가 대중화가 되어버린 시점에 도대체 내게 맞는 하드는 어떤것일지? 용량만 많으면 끝? 아님 그냥 빠르면 끝? 가격도 고민 성능도 고민 이왕 한번 사는것 나의 미디어(?) 저장소 역활을 할 하드디스크 선택방법 총 정리합니다.








1. HDD vs SSD

HDD : 원형의 디스크를 회전시켜 데이터를 읽고 저장하는 기능이 있는 저장장치 입니다.

SSD : 플래시메모리를 사용한 저장장치로 하드디스크의 다음세대 입니다.


HDD는 SSD에 비해 무겁고 크며 속도도 느립니다. 다만 가격이 좀 더 저렴하죠, 즉 가격이 중요하지 않다면 SSD는 진리입니다.



2. SATA ?

메인보드와 연결하는 방식을 뜻하며 전송속도의 차이가 있습니다.


EIDE(133MB/S)

SATA(150MB/S)

SATA2(300MB/S)

SATA3(600MB/S)



3. 3.5인치??

크기의 용어입니다만 SSD는 크기에 따른 성능 차이가 없으므로 HDD에만 해당하는 내용입니다.


1.8인치(크기와 용량이 작다) 3,600~4200 rpm

2.5인치(크기와 용량이 보통) 4,200~7,200 rpm

3.5인치(크기와 용량이 크다) 7,200~10,000 rpm



4. 회전속도

SSD는 플래시메모리 방식이므로 해당이 없으며 HDD의 전송속도와 관련 있습니다.

당연히 회전속도가 빠르면 좋겠지만 회전속도가 높아지면 발열과 함께 전력소모도 증가하며 가격또한 높아집니다. 또한 저가형 저전력 노트북 사용시에는 높은 회전속도도 무용지물입니다.



5. SSD 메모리 종류

SSD의 속도와 수명을 결정짓는 요소중 하나입니다만 가잔 기본 낮은 단위인 SLC도 수명이 100년이 넘기떄문에 수명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SLC (속도가 빠르고 수명이 길다. 셀당 1비트)

MLC (속도와 수명이 보통수준이며 셀당 2비트)

TLC (속도는 느리고 수명이 짧습니다. 셀당 3비트)



6. 공정(nm)

SSD 제작 기술의 세밀함 정도로써 용량과 속도가 같을 경우 수치에 따라 발열과 소비전력의 차이가 있습니다. 그러나 본 공정수치로 사람이 체감할 정도의 성능차이는 극히 적기에 중요한 선택사항은 아닙니다.


25nm (발열과 소비전력이 높고 수명이 길다.)

20nm (발열과 소비전력이 낮고 수명이 짧다.)






하드디스크를 고르는데에는 다양한 옵션이 있지만 무엇보다 전자제품의 제일 큰 선택 기준은 누가 뭐래도 가격입니다. 우선 가능한 가격을 결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제품을 선택하시면 수많은 옵션들 사이에서도 현명한 제품을 고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