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근 썸네일형 리스트형 한국에서 시간외 근무의 정의와 야근수당 계산의 법적 기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문화로 널리 알려진 야근이 있습니다. 이는 일반적인 용어의 정의로는 기본적인 근로기준법에 지정된 시간외의 근무를 뜻하는데 사실 정확한 용어와 법적 기준에 맞지 않는 수당 지급 등 관행적으로 기준법을 어기고 있는 기업이 많습니다. 그래서 근로자 및 노동자로서 나에게 기준되는 법 정도는 이해하고 일을 해야 하지 않을까 싶어 포스팅을 준비했습니다. 1. 야근? 시간외 근무? 잔업? 연장근로? 뭐가 맞는말? 근로기준법에 의하면 1주일의 근로시간은 휴게시간(일반적으로 점심시간 1시간)을 제외하고 40시간을 초과할 수 없다 라고 명시되 었습니다. 이에 따르면 오전 9시 출근해서 점심시간 1시간을 포함하면 오후 6시 퇴근이 법적인 근무시간 입니다. 즉, 상기 시간을 넘어서 일을 하게 되면 무조건 ..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