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날과 추석 명절은 물론 집안 마다 1년에 적어도 한두회 정도씩은 있는 제사날마다 제사상 차리는 법 때문에 우왕자왕 하지 않으신가요? 집안마다, 지역마다 조금씩은 다르지만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제사상 차리는 방법에 대해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1. 제사상 준비 방법
제사 음식을 "제수" 라고 표현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용어는 아니므로 혼란이 없도록 제사 음식이라고 쉽게 표현하겠습니다.
※ 제사음식 준비 절차
- 밥, 국, 숭늉 제사 지내는 "신위" 수대로 준비
(명절에는 떡국이나 송편으로 대신합니다.)
- 밥은 그릇에 담아 뚜껑을 덮어둠
- 국은 쇠고기 뭇국으로 덮개를 덮어둠
- 숭늉은 냉수 또는 더운 물에 밥알을 조금 풀어둠
- 제사 모시는 "신위" 수와 무관하게 준비하는것
(술, 식초, 간장, 떡, 찌개, 부침개, 구이, 포, 식혜, 나물, 김치, 과자, 과일 등)
- 술은 맑은 술 준비
- 신초와 간장은 종지에
- 떡은 보통 시루떡 사용
- 찌개는 홀수로 준비
- 나물색이 다른 3가지 준비
- 김치는 나박김치
- 과일은 짝수로 준비
- 부침개는 고기 또는 생선전
- 구이는 조기, 쇠고기, 닭 등을 사용
- 어포를 사용할 경우 등이 위로 가게 담아둠
2. 제사상 차리는 방법(제사 상차림)
보통 5열로 차리게 됩니다.
- 1열 : 시접, 잔반, 밥, 국(명절에는 떡국, 송편)
- 2열 : 생선, 고기
- 3열 : 생선, 두부, 고기탕, 탕류
- 4열 : 포, 식혜
- 5열 : 대추, 밤, 배, 곶감, 과일
제사상 차림 격언
- 고비합설 : 내외분일 경우 남자조상과 여자 조상은 함께 차린다.
- 시접거중 : 수저를 담은 그릇은 신위의 앞 중앙에 놓는다.
- 반서갱동 : 밥은 서쪽, 국은 동쪽(살아 있는 사람과 반대로 둔다.)
- 적접갱동 : 구이는 중앙
- 어동육서 : 생선은 동쪽, 고기는 서쪽
- 동두서미 : 생선의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
- 배복방향 : 닭구이나 생선포는 등이 위로 향한다.
- 면서병동 : 국수는 서쪽, 떡은 동쪽
- 숙서생동 : 익힌 나물은 서쪽, 생김치는 동쪽
- 서포동해 : 포는 서쪽, 생선젓과 식혜는 동쪽
- 홍동백서 : 붉은색의 과일은 동쪽, 흰색의 과일은 서쪽
- 동조서율 : 대추는 동쪽, 밤은 서쪽
3. 제사 지내는 순서
- 제사지내기전 문을 열어둔다.(입구)
- 제주가 조상님을 모시기 위해 향을 피운다.
- 술잔을 올리고 2번 절한다.
- 참가자 전원 2번 절한다.
- 첫 술잔을 올린 후 2번 절한다.
- 서열에 따라 술을 올린 후 2번 절한다.
- 마지막 잔을 올린다.
- 밥뚜껑을 열고 숟가락을 꽂은 후 모두 절한다.
- 숭늉을 올린 후 밥을 조금 떼어 물에 말아둔다.
- 숟가락과 젓가락을 치운 후 밥 뚜껑은 닫는다.
- 제사를 마친 후 두번 절한다.
4. 제사상 예시 이미지
제사날만 되면 어렸을적 먹기 힘든 바바나라 던가 약과를 먹어볼 수 있어 좋았는데 나이가 들 수록 조상님을 잘 모셔야 나와 가족 모두가 건강하고 행복하게 살 수 있는 느낌이 듭니다. 시간이 흐를 수록 점점 제사 문화도 생략하는 집안이 많은 듯한데 그래도 우리 고유의 문화인 조상을 모시는 마음만큼은 잊혀지지 않기를 바랍니다.
'세상살이 > 세상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은행 마이너스통장 발급을 위한 조건과 금리 체크! (0) | 2016.08.22 |
---|---|
생활의 불편 딸꾹질 멈추는법 총정리 (0) | 2016.08.21 |
로또1등 당첨자 가장 많이 나온 전국 로또명당 총 정리 (0) | 2016.08.17 |
음식물 쓰레기 분류기준법 총 정리 (0) | 2016.08.14 |
법령과 시행령의 차이, 그리고 시행규칙 (0) | 2016.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