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구글(Google)

유튜브 하드유저를 위한 단축키 모음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최근 아프리카TV BJ들의 잇다른 유튜브로의 이적과 함께 2월부터 서비스되는 유튜브의 공식 스폰서비스인 슈퍼챗까지 이미 글로벌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의 최강자인 유튜브가 점점 몸집을 키우고 있는것이 보입니다. 이에 유저들이 나날히 늘어가고 있는데요 이런 유튜브 하드 유저들을 위한 PC용 단축키를 알려드립니다.







1. 유튜브란?



일반 사용자가 영상 클립 등을 업로드하거나 공유할 수 있는 전세계 최대의 무료 동영상 공유사이트로 2005년 2월 페이팔 직원이었던 채드헐리, 스티브 천, 자베드 카림이 공동으로 창립하였다.


이후 2006년 구글에 인수되면서 본격적으로 성장하기 시작하며 영화와 TV클립, 뮤지비디오는 물론 아마추어들이 만들어낸 영상도 다수 있다. 한국에서는 2008년 1월 23일에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지금은 인터넷에서 원하는 영상을 손쉽게 찾아볼 수 있지만 당시만 해도 용량이 큰 영상을 느린 인터넷 환경에서 원활히 보기도 쉽지 않았고 이를 공유하기도 쉽지 않았으나 유튜브가 거의 최초로 이를 무료로 서비스하면서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여주게 된다.




2. 유튜브 단축키 모음




[ ← ] 5초 뒤로 감기

[ → ] 5초 앞으로 감기

[ ↑ ] 볼륨 올리기

[ ↓ ] 볼륨 내리기

[ 숫자 1~9 ] 전체 재생시간을 100%로 볼때, 10%~90% 시점으로 이동

[ Home ] 시작 시점으로 이동

[ End ] 종료 시점으로 이동

[ F ] 전체화면(풀스크린) 모드로 전환

[ Esc ] 풀 스크린 모드에서 일반모드로 빠져나옴

[ J ] 10초 뒤로 감기

[ L ] 10초 앞으로 감기

[ M ] 음소거




3. 유튜브 레드 유료 서비스



최근 무료서비스인 유튜브에서도 백그라운드, 오프라인 재생 등을 앞세워 유료서비스를 공개했는데 아직까지는 반쪽짜리 서비스인지라 국내에서는 큰 호응을 얻지 못하고 있으나 본격적으로 넷플릭스처럼 오리지널 컨텐츠와 구글뮤직이 국내에 정식으로 런칭되게 되면 크 파급력은 MS의 그것과 같은 추세를 보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관련포스팅]

2017/01/31 - [구글(Google)] - 유튜브 레드 가격과 서비스 해지 방법 정리







항상 국내의 참신한 IT 서비스들은 신성하게 다가와 유료화로 변질되어가는 모습을 보이나 구글의 서비스들은 한결같이 자연스럽게 우리 일상에 스며든다. 다소 높은 가격대인 애플의 서비스만 해도 유료에 무거우나 감성적으로 우리가 디바이스에 커스터마이징 되는 형태도 있는데 왜 우린 이게 안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