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시절 부터 만화를 너무 좋아해서 대학도 애니메이션과로 입학했으나 지방 전문대의 사정이란게 다 그렇듯이 자연스럽게 과가 소멸됨과 동시에 디자인학과에 입학한게 되어버렸던 기억이 있습니다. 이러한 단편적인 사례만 보아도 우리나라에서 만화 작가들의 현실이 얼마나 열악했고 힘들게 명맥이 이어져왔는지를 알수있죠, 과거 2000년도 초반쯤 "만화가의 비애"라는 장문의 글이 인기 글로 여러 커뮤니티를 돌아다녔었는데 참 힘들게 이어져오던 한국 만화 시장의 새로운 길인 웹툰(webtoon)이라는 길이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대한민국 만화시장을 이어갈수있도록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만화는 만화고 그래서 웹툰 작가는 얼마를 벌까? 라는게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게 되었죠
최근 무한도전에서도 웹툰 작가들을 초빙하여 "릴레이 툰"이라는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있구요 그래서 한번 정리해봅니다! 웹툰 작가들의 수익과 연봉!
1. 웹툰 작가들의 수익구조
웹툰에 의한 수입은 단순히 만화만 그려서 나오는걸로 연봉이다 라고 표현하기 어려울만큼의 파급력을 가지기도 하는데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원고료 : 아주 기본적인 월급단위입니다. 웹툰을 회당 연재하면서 받는 기본 단위(물론 회당 받는지 월단위로 받는지 연봉단위로 받는지는 잘모르겠네요)
- 저작권 수입(캐릭터) : 원고료 처럼 회당 연재하는 개념으로 발생하는 비용이 아닌 주인공 캐릭터 또는 기타 캐릭터들로 발생하는 저작권 수입 입니다.
- 단행본 인세 : 웹툰이 인기 있어지면 실제 인쇄물(도서)로 발간 될 경우 발생하는 수익입니다.
- 기타 광고료 : 웹툰이나 캐릭터가 유명해지면 영화배우나 아이돌들만 찍던 광고를 캐릭터가 대체 하기도 하죠, 이말년 캐릭터를 최근에 본것 같네요
- 판권 판매 : 타짜, 치즈인더트랩, 내부자들, 신과함께 등 웹툰의 시나리오나 여러 측면에서 인정을 받게되어 다른 매체로 새로이 제작을 하고자 할때 원작자인 작가가 해당 판권을 판매함으로서 발생하는 수익입니다.(참고로 영화나 드라마 뿐만 아니라 팬시, 문구, 기타 용품으로써 판매가 될때도 판권 계약이 이루어 지죠)
2. 웹툰작가의 연봉(수입)
국내에서 웹툰시장은 크게 네이버와 다음으로 나눌 수있지만 워낙 네이버가 큰 비중을 차지하기에 네이버 기준으로만 보겠습니다. 하지만 웹툰이란것이 조회수에 따라 워낙 수시로 인기의 척도가 달라지기에 월? 연? 어떤 개념으로 급여가 제공되는지는 정확하게 표현하기 어렵지만 시장에 흔히 나와있는 정보로만 공개를 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 신인 : 120 ~ 200만원(주 1회 연재기준, 월급여)
- 경력 웹툰 작가 : 70 ~ 80만원(1회 연재당)
- 유명작가 : 500 ~ 600만원(1회 연재당)
참고로 위는 참고할만한 예시정보 이므로 100% 정확하다고 알려드리기가 너무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원고료 산정의 기준은 네이버, 다음 마다 다르겠지만 기본적으로는 6~8 등급의 단계가 있다고 하며 조회수, 댓글수, 별점, 트래픽 유입수, 독자 추천, 작품의 가치 등 여러 요소들로 평가가 되기 때문에 일반 기업의 직장인들 급여처럼 1년차 얼마 대리 얼마 과장 얼마라고 딱 잘라 표현하기는 어렵네요
3. 인기 웹툰작가
유명 인기 웹툰작가로는 한두명을 거론 할 수는 없지만 웹툰(만화)로도 영화로도 드라마로도 유명한 작품을 통하여 그 작가들을 알 수가 있는데요 이런 분들의 경우 웹툰의 원고료로만 그들의 연봉, 수익 등을 책정할 수 는 없겠죠 그렇기 때문에 이들이 실제로 얼마를 번다라고 말씀드리기는 어렵지만 윤태호, 주호민, 강풀, 양영순 등의 유명 S급 웹툰 작가들은 원고료, 저작권료, 판권 기타 단행본 인쇄료 등을 합치면 못해도 최소 연봉이 3억~5억 이상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미생(윤태호)
신과 함께(주호민)
순정만화(강풀)
덴마(양영순)
위대한 캣츠비(강도하)
마음의 소리(조석)
패션왕(김희민:기안84)
앞서 언급한 과거 "만화가의 비애"라는 글을 보고 우리나라에서 저작권을 인정받고 정당한 작품 활동으로 먹고산다는것이 얼마나 힘든것이구나를 어린나이에 깨닳고 내가 할수있는게 책한권 사는것 밖에는 없는게 참 아쉬웠다. 하지만 이렇게 웹툰이라는 새로운 시장이 열려서 만화를 사랑하고 연구하여 개발시키는 선배님들이 계속해 나갈수있어서 기쁘다.
어느 한편으로는 펜 깨작여서 그림 몇개 그리고 몇억이나 버는게 어쩌구 저쩌구 하는데 수천 수만 혹은 수십만의 만화가들 중 많은 시간과 크나큰 노력을 기울여서 이루어낸 성과를 단순히 10~20분 그려서 완성해낸 작품이라고 비하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열악한 문화 시장에 대한 인식을 우리나라도 조금씩은 바꾸어 나갔으면 한다.
대한민국 만화 업계 종사자분들 모두 화이팅~!
'세상살이 > 세상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YG의 테디가 수장으로 있는 더블랙레이블 (0) | 2016.06.14 |
---|---|
쇼미더머니5 프로듀서 쿠시는 누구?(YG 더블랙레이블) (0) | 2016.06.13 |
허니 패밀리(Honey Family)를 아는가? (0) | 2016.06.10 |
또! 오해영의 그냥 오해영, 서현진의 과거와 출연작품 (0) | 2016.06.07 |
쇼미더머니(Show the money) 시즌별 역대 우승 프로듀서(심사위원) (0) | 2016.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