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금

아파트 재산세 계산 방법 처음 결혼을 하고 전세 및 월세살이를 하다가 내 집을 가지면 더이상 나갈 돈도 없고 이집에서 한평생 알콩달콩 살면 되겠다 라는 생각을 하신다면 천만의 말씀 만만의 콩떡이다. 대한민국 국민으로써 숨쉬는거 빼고는 모든 행위에서 세금이 발생한다고 볼 수 있다. 가혹하지만 아파트 또한 그렇다. 바로 재산세가 붙기 때문에다. 수도권의 아파트들은 기본 몇억이 넘어서기에 그 재산세 또한 결코 만만치 않으므로 잘 한번 알아보도록 하자. 1. 재산세란? 대한민국의 국민으로써 내가 가지고 있는 재산을 담세력으로 판단하여 부과하는 세금 및 지방세 이다.(담세력이란? 납세의무자 즉 내가 얼마나 세금을 부담할 수 있는 경제적 능력을 갖추었는지에 대한 기준) ※ 재산세 내는 날재산세는 매년 6월 1일 개인의 재산을 과세객체로 하.. 더보기
2017년 연말정산 달라지는 점과 일정 확인으로 제대로 준비하기 매년 연말이 되면 우려와 기대가 함께하는데요 그것은 바로 연말정산입니다. 한해동안 낸 세금을 돌려받을지, 추가로 더 내야할지 극과극의 상황에 놓이게되는 이는 스스로의 조그마한 노력으로 선택할 수 도 있는데요 올해 과연 우리들의 연말정산은 어떻게 될까요? 1. 연말정산이란? 어떠한 수입이든 지출이든 국가에 소속되어있는 국민이라면 이에 대해 세금을 내게 되는데요 이중 수입을 발생시킬때 내야 하는 세금을 미리 내는것을" 원천징수"라고 합니다. 하지만 한해동안 얼마나? 또는 어떻게? 어떤걸? 수입으로 발생시키는지 정부는 알 수가 없기에 대략적인 가이드를 가지고 세율을 매겨 세금을 내게 됩니다. 그리고 한해가 지나고 나면 정확히 1년동안 앞서 이야기한 얼마나? 어떻게? 등으로 수입을 발생시켰는지가 명확해 지고 이.. 더보기
사회초년생 직장인 연봉에 대한 모든것 취업을 하기전 많은 선배들이 세금만 안떼어가면 부자되겠다 라는 농담같은 소리를 하곤 했는데 취업을 해보니 내가 아는 연봉의 실수령액이 뭔가 빠져있는것을 알게됬다. 그것도 많이... 그래서 아직 취업을 하지 못한, 그리고 이번에 취업을 하게된 많은 사회초년생들이 알아두어야 할 사회초년생이 알아야 할 직장인 연봉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과 현재 2016년도 기준의 연봉 이슈에 대해 정리합니다. 1. 연봉이란?봉급, 수당, 연금 및 기타 근무에 대한 대가를 급여라고 하는데 기본적으로 이를 월단위로 수령하게 됩니다. 이때 급여는 대부분의 기업들은 25일을 월급날로 지정하여 일괄적으로 급여를 지급하며(10일이기도 하며 다양합니다.) 이 급여에서 세금과 같은 공제액 그리고 상여금, 명절보너스 등을 합쳐서 1년간 총 받..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