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을 하기전 많은 선배들이 세금만 안떼어가면 부자되겠다 라는 농담같은 소리를 하곤 했는데 취업을 해보니 내가 아는 연봉의 실수령액이 뭔가 빠져있는것을 알게됬다. 그것도 많이... 그래서 아직 취업을 하지 못한, 그리고 이번에 취업을 하게된 많은 사회초년생들이 알아두어야 할 사회초년생이 알아야 할 직장인 연봉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과 현재 2016년도 기준의 연봉 이슈에 대해 정리합니다.
1. 연봉이란?
봉급, 수당, 연금 및 기타 근무에 대한 대가를 급여라고 하는데 기본적으로 이를 월단위로 수령하게 됩니다. 이때 급여는 대부분의 기업들은 25일을 월급날로 지정하여 일괄적으로 급여를 지급하며(10일이기도 하며 다양합니다.) 이 급여에서 세금과 같은 공제액 그리고 상여금, 명절보너스 등을 합쳐서 1년간 총 받는 금액을 연봉이라고 지칭합니다.(또한 퇴직금이 포함되는지 아닌지에 따라 큰 차이가 나기도 하죠)
사회초년생이 처음으로 직장인이 되면 아무래도 상대방의 연봉이 궁금할텐데 세전 연봉 다르고 세후 연봉다르며 단순히 월급을 12곱해서 나오는게 연봉이 아니다보니 말이 많아지겠지만 시간이 지나 보면 연봉가지고 서로의 우위를 알아보는 행위가 얼마나 의미없는 일인지 깨닳게 됩니다. 너무 급여에 연연하지 맙시다.
2. 급여에 포함된 세금
월급에 포함된 세금들, 뭐가 뭔지도 모르겠지만 그냥 떼가는구나 할 수 밖에 없는 세금입니다. 너무 종류가 많다고 포기하지마시고 그래도 내 월급에서 뭐가 떨어져 나가는지 정도는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 국민연금(과세금액의 4.5% 공제) : 퇴직등의 이유로 소득원을 상실할 경우 일정 소득을 보장해주는 제도
- 건강보험(과세금액의 3.06% 공제) : 보험사고가 발생했을때 의료서비스를 제공받기위한 일종의 사회보험
- 장기요양보험(건강보험 금액의 6.55% 공제) : 고령이 되었을때를 대비한 사회보장제도
- 고용보험(과세금액의 0.65% 공제) : 구조조정 등 타의적인 이유로 직장을 잃을 경우 실업보험금을 주고 직업훈련을 위해 기업에 지원하는 제도
- 소득세(부양가족수에 따라 공제) : 개인의 소득에 따라 부과하는 조세
- 지방소득세 또는 주민세(소득세의 10% 공제) : 지방자치단체의 주민에 대해 부과되는 조세
3. 중소기업 초봉, 대기업 초봉, 2016년도 평균 연봉?
중소기업은 얼마받고?
대기업은 얼마받는가?
그렇다면 우리나라 직장인 평균연봉은 얼마인가?
※ 신입사원 평균연봉
중소기업 신입사원 평균연봉 : 25,800,000원
외국계 신입사원 평균연봉 : 29,800,000원
공기업 신입사원 평균연봉 : 30,050,000원
대기업 신입사원 평균연봉 : 37,070,000원
※ 전체 평균연봉
대한민국 근로자 평균연봉 : 32,810,000원
중소기업 평균연봉 : 33,630,000원
대기업 평균연봉 : 65,440,000원
4. 최신 2016년 연봉별 실수령액 계산
앞서 설명드린것 처럼 이제 연봉 나누기 12가 실제 급여가 아니란것은 이해되셨을테죠? 그럼 연봉별 실수령액은 얼마나 되는지 한번 보겠습니다.
위 표만 보시면 앞서 이야기한대로 왜 세금만 안떼어가도 부자가 된다는 말이 나오는지 쉽게 이해되실 겁니다.
아... 아까운 세금이여...
저도 사회초년생때 하고있던 일이 내 전공도 아니고 돈이 되는것도 아닌 상황에 놓여서 한창 딜레마에 빠져있었던 적이 있었습니다. 그 당시 우연찮게 본 아침방송에서 어떤 강사분이 그런 이야기를 하시더라구요, 200만원을 벌기위해서는 100만원을 벌어야하고 300만원을 벌기위해서는 200만원을 벌어야한다. 우리 모두가 원하는 연봉 1억이 되기 위해서는 1백만원 3백만원 5백만원 다 순서대로 차근차근 올라가야 하는것이다 라고... 현재 자신이 받고 있는 급여가 적더라도 너무 고민하지마세요 시작부터 많이 벌 수 있으면 그 또한 좋겠지만 세상일이라는게 모두 순서가 있듯이 차근차근 밟아 가면 문득 멈췄을때 생각지도 못한 돈을 벌고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참고로 직장생활은 열심히 해봤자 어차피 부자와 관련은 없으니 연봉경쟁하지마세요....)
'학습생활 > 비즈니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누라 몰래 만드는 비자금통장(스텔스통장)이란? (0) | 2016.11.12 |
---|---|
직장인 몰래 퇴근을 위한 컴퓨터 자동 꺼짐 예약종료 기능 (0) | 2016.09.05 |
근로기준법에 따르는 나의 법정근로시간과 연차휴가 계산법 (0) | 2016.07.17 |
네모난 바퀴(Square wheels)를 단 수레가 말하는 리더십과 방향성 (0) | 2016.07.14 |
6월 초여름 업무 메일 좋은 인사말 예시 (0) | 2016.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