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세 썸네일형 리스트형 전세와 월세 수리비는 누가 내야하나? 임차인의 수리범위 정리 서울에 상경하고 자취를 시작한지 어언 8년이 넘어가고있는데요 혼자 살면서 처음내어보는 공과금과 관리비 기타 기본적인 생활비용 등 정말 버는것보다 나가는 돈이 훨씬 많은 삶인데요 그 중 계획에 없던 지출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바로 임대하여 살고있는 집안의 수리비!? 나는 집을 임대계약해서 거주하고 있을 뿐인데 내돈들여 고치기에는 애매하고 안고치자니 남은 계약기간이 꽤 남아있고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0. 용어의 정리와 법적 기준 확인 - 민법 제623조(임대인의 의무) : 임대인은 목적물을 임차인에게 인도하고 계약존속 중 그 사용, 수익에 필요한 상태를 유지하게 할 의무를 부담한다. - 민법 제626조(임차인의 상환청구권) : 임차인이 임차물의 보존에 관한 필요비를 지출한 때에는 임대인에 대하여 그.. 더보기 SH주택공사에서 지원하는 2016년 제2차 국민임대주택 공급대상 및 내용 정리 옛부터 의식주는 인간의 가장 중요한 세가지로 알려져있는데 요즘같은 내집마련이 어려운 시기에는 주거문제가 쉽게 해결되지 않는것이 사실입니다. 때문에 국가에서 지원하는 임대주택을 이용하면 주변 시세보다 저렴한 가격에 깨끗한 내집 마련을 할 수 가 있는데요 하지만 요즘에는 거의 로또나 다름없는 경쟁률 때문에 이 또한 쉽지 않지만 제대로된 전략을 가지고 접근한다면 마냥 불가능한것만은 아니니 잘 알아보도록 합시다. 1. 국민임대주택 이란? SH공사(서울주택도시공사) 기준으로 보면 임대주택 서비스가 3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째는 주변시세의 80% 이하의 보증금으로 SH공사와 계약을 맺어 최대 20년의 장기간 전세로 입주하여 거의 내집처럼 임대할 수 있는 장기전세주택(시프트), 둘째는 도시내부에 지어져 교통이 ..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