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석

명절 추석인사말문구 총정리 우리나라에서는 1년에 두번 온 가족이 모이고 함께하는 큰 행사가 두번있다 바로 설날과 추석, 설날은 새해를 맞이하는 명절이며 추석은 음력 8월 15일로 가을 추수를 끝내고 조상들께 감사의 마음을 차례로 지내는 명절이다. 이러한 명절에는 가족은 물론 사랑하는 사람 직장동료 학교 선후배에게 감사 인사말을 전하곤 하는데 그냥 단순한 안부인사보다는 조금 더 의미있는 말을 전달해보는것은 어떨까? 1. 추석인사말문구 추석 인사말은 한해 동안의 감사한 마음을 담아 앞으로의 미래지향적이며 긍정적인 마음을 담아서 작성하도록하며 정중하고 예의있게 그렇다고 너무 무겁지 않고 친근하게 작성하도록 한다.기본 내용은 주석 명절에 여유와 풍요로움을 간직하길 바라는 마음의 내용이 들어가도록 한다. ■ 기본 예시마음까지 넉넉해지는 풍.. 더보기
2017년 추석 기차표 예매 노하우 정리 한국에서는 일년에 가장 큰 명절이 설날과 추석이 있는데 매번 명절되기 한달전 수많은 사람의 경쟁을 시키는 큰 행사아닌 행사가 있는데 바로 KTX 기차표 예매하기 이다. 단순히 저렴한 티켓을 얻게다의 목표보다는 어떻게든 티케팅만 하자라는 목적하나로 수 많은 사람이 몰리는 만큼 서버다운은 다반사이며 해외여행 땡처리 티켓보다 훨씬 구하기가 까다롭다. 하지만 적을알고 나를 알면 백전백승이랬던가 지금부터 2017년 추석 기차표 예매 노하우에 대해 정리해보자 1. 2017년 추석 기차표 예매 장소 KTX 추석 열차표 예매는 365일 24시간 아무장소에서나 판매하는것은 아니다. 때문에 지정된 장소와 지정된 기간에 누구보다 빠르게 예매를 한 사람만이 가질 수 있다. 2017년 추석기준으로 추석 열차승차권을 예매할 수 .. 더보기
추석, 설날, 제사 필수상식 제사상 차리는법 설날과 추석 명절은 물론 집안 마다 1년에 적어도 한두회 정도씩은 있는 제사날마다 제사상 차리는 법 때문에 우왕자왕 하지 않으신가요? 집안마다, 지역마다 조금씩은 다르지만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제사상 차리는 방법에 대해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1. 제사상 준비 방법제사 음식을 "제수" 라고 표현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용어는 아니므로 혼란이 없도록 제사 음식이라고 쉽게 표현하겠습니다. ※ 제사음식 준비 절차- 밥, 국, 숭늉 제사 지내는 "신위" 수대로 준비(명절에는 떡국이나 송편으로 대신합니다.)- 밥은 그릇에 담아 뚜껑을 덮어둠- 국은 쇠고기 뭇국으로 덮개를 덮어둠- 숭늉은 냉수 또는 더운 물에 밥알을 조금 풀어둠- 제사 모시는 "신위" 수와 무관하게 준비하는것(술, 식초, 간장, 떡, 찌개, 부침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