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활을 포함해서 학창시절에는 어떠한 과제가 생기거나 문제가 생겨도 내머릿속에서 나오는 이슈로 모든것을 해결했었고 또 그 해결법으로도 큰 무리없이 어느정도의 결과물을 만들 수 있었으며 결과물에 만족할 수 있었는데요. 그렇지만 사회에 나와 직장생활을 하다보면 단순히 "나" 라는 시점이 끝이 아닌 상사, 부하, 거래처, 고객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있고 또 이들을 만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가 필요하게 됩니다.
아이디어 발상 기법에는 다양한 기법들이 있지만 가장 대중적으로 알려져 있는 브레인 스토밍 기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 이란?
1941년 미국의 광고회사 부사장 알렉스 F.오즈번이 고안한 아이디어 발상 기법으로 그의 저서 "독창력을 신장하라(1953)"에서 최초로 소개되었습니다.
브레인스토밍은 하나의 주제를 정하고 다수가 모여서 자유발언으로 회의가 진행되며 그 어떤 내용의 발언도 비판하지 않으며 특정한 틀에 갖쳐 회의하는것이 아닌 자유롭게 의견을 내면서 아이디어를 전개시켜 나간다. 이때 브레인스토밍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절대 제시된 의견(아이디어)에 대해 비판하지 않는것으로 보다 많은 아이디어를 수집함으로써 질적으로 가장 우수한 아이디어를 도출해낸다라는 방법이다.
2. 브레인스토밍의 4S
- Suppor
나의 생각돠 다른 의견을 낸다고, 현실 가능성이 없다고 절대 다른사람의 의견을 비판하지 않는다!
- Speed
최대한 빠른 시간내에 좋은 아이디어 보다 많은 아이디어를 찾아내는것
- Silly
이런게 될까? 라는 생각보다 망설이지 말고 떠오르는 아이디어를 생각없이 모두 말하기
- Synergy
다른이가 낸 아이디어에서 덧붙여서 보다 나은 아이디어를 만들려는 노력
3. 브레인스토밍의 7원칙
- Defer judgment
판단을 미뤄라, 무조건 좋은 아이디어다.
- Encourage wild ideas
거친 아이디어는 진리다.
- Build on the ideas of others
남의 아이디어를 발전시켜라
- Stay focused on the topic
주제에만 집중하라
- One conversation at a tiome
한번에 한사람과의 대화만, 절대 대화에 끼어들지 않는다.
- Be visual
모든것을 시각화하라
- Go for guantity
좋은아이디어보다 보다 많은 아이디어를 내라
4. 브레인스토밍 사례
1962년, 미국에서는 유인 우주왕복선을 달에 쏘아올리기위해 노력하고 있었는데 로켓이 지구의 중력을 뚫고 나가기 위해서는 수천 파운드의 연료가 필요했고, 달의 중력을 뚫고 지구로 돌아오는 데 또 다시 수천파운드의 연료가 필요한 계산이 나왔다.
여기서 문제는 로켓이 달의 중력을 뚫기 위한 충분한 연료를 싣고 가는것도 어려운데 그에 앞서 지구의 중력을 뚫고 이륙하기에도 너무 무거운 상황이었다.
기술자들은 심각한 고민에 빠졌는데 브레인스토밍 회의가 진행되는 동안 기술자 한명이 뜬금없는 의문을 제기했다.
"그런데, 로켓이 꼭 달에 착륙해야만 하나요?"
기술자의 이야기는 이랬다.
"만약 달에 로켓의 일부만 착륙시킨다면 달의 중력을 뚫기 위한 양의 연료만 있으면 되지 않을까요?"
이 실제사례는 1969년 암스트론 선장과 올드린이 조종한 '모선에서 분리되는 달 착륙선'이 개발된 아이디어가 되었다.
대한민국 사회에서 일반적으로는 사용되지 않는 회의기법이지만 굉장히 뛰어난 아이디어 발상기법임에는 틀림이 없습니다. 사회에 나와 조직생활을 시작해보니 정말 이런 회의분위기를 주도하는 조직과 리더는 드물더라구요, 어떠한 아이디어를 제시해도 돌아오는건 "그래서? 왜? 뭐?" 같은 "나를 설득해봐"라는 눈빛들.. 아직 가길이 멀지만 이런 기법들이 있다는걸 잊지말고 때가 되었을때 적절히 사용해서 좋은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학습생활 > Offi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엑셀 영어한글 자동변경 고침옵션 해제 (0) | 2016.09.08 |
---|---|
윈도우10 바탕화면 휴지통 없애기 (1) | 2016.08.30 |
연차갯수와 연차수당 계산방법 (0) | 2016.08.12 |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차이(기간제, 파견직, 아르바이트 등) (0) | 2016.08.11 |
파워포인트 배워보기1. 기본구성(템플릿) (0) | 2016.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