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습생활/IT

랜섬웨어 확인 및 치료방법과 예방 복구비용 정리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오래전 윈도우버전이 98이나 XP시절만 해도 바이러스란게 상당히 무서운 존재였으며 이후 초고속 인터넷이 보급되면서 부터는 악성코드란것들이 PC 사용환경에 영향을 끼치는 나쁜 요소로 작용했는데요 그중 단순히 PC가 느려지거나 특정 광고창이 뜨는 귀여운(?) 수준을 넘어 PC를 사용불능상태에 빠지게 하는 심각한 수준의 바이러스도 존재했는데요 하지만 백신의 무료보급과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대다수의 PC 사용자들은 이러한 위험요소들을 잊고 살았는데 최근들어 랜섬웨어라는 신종 악성코드가 일부 사용자들에게 심각한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 이에 오늘은 랜섬웨어의 예방법과 치료방법등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1. 랜섬웨어란?


랜섬웨어는 영어로 Randsom(몸값) 과 Ware(제품)의 합성어로 특정 PC에 무단으로 설치되어 해당 PC 사용자의 파일을 인질로 잡아 돈을 요구하는 악성 프로그램 입니다. 이는 PC 뿐만 아니라 최근 널리보급된 스마트폰(모바일) 환경에서도 발생하기때문에 생각보다 감영사례가 많은 상황입니다.




2. 랜섬웨어 증상


 

 

어느날 PC를 켜서 엑셀이나 워드 문서를 열려고 보니 아이콘이 이상하게 보입니다.
확장자는 일반적인 xls 나 doc가 아닌 "ZEPTO" , "CERBER" 과 같은 생전 처음보는 확장자로 변해있는데요 이것이 바로 랜섬웨어의 증상입니다.

문서나 그림파일을 무작위로 암호화 시켜서 사용불가 상태로 만들고 비용을 지급하면 해독용 열쇠프로그램을 전송해준다 라고 하며 돈을 요구하는데요 주로 암호화 되는 파일로는 xls, .doc, .pdf, .jpg, .avi, .rar, .zip, .mp4, .png, .psd, .hwp, .java, .js 등이 있습니다.

일반사용자라면 이럴경우 그냥 포맷을 하거나 해당파일을 지워버리면 그만이지만 직장인들에게는 업무용 파일들에 대부분 대상이기에 상당히 위험성이 높은 수준이라 볼 수 있습니다.




3. 랜섬웨어 치료방법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현재로서 랜섬웨어의 치료방법은 없습니다.
현재 본인의 PC가 랜섬웨어에 걸렸다면 당장 PC를 끄시고 다른 컴퓨터나 모바일기기로 이글을 읽으시길 추천드립니다.
(컴퓨터가 켜져있는 순간에도 계속해서 랜섬웨어는 다른 파일을 암호화 시킵니다.)

랜섬웨어는 한가지의 악성프로그램이 아닌 다양한 버전의 랜섬웨어가 존재하는데 이중 제작자가 복호화키를 공개하였거나 사법당국과 안티 바이러스 업체가 복호화 키를 찾아낸 경우에는 PC를 정상화 시킨 이후 해당 파일을 정상화 시킬 수 있다고는 하지만 이 경우에도 특정파일이 불완전하게 복호화 된다거나 꽤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치료라는 개념은 없다고 보는것이 좋다.

※ 직장인의 경우 굉장히 중요한 파일이 랜섬웨어에 걸렸다 할 경우에는 1일주일 정도 소요되는 보고서 및 문서라면 빨리 재작업을 하시는것을 추천하고 1주일 이상 소요되는 문서거나 돈을 주고도 다시 구하기 어려운 수준의 자료의 경우 백신 업체에 의뢰를 해서 상담받는것을 추천 드립니다.(네이버 등에서 돌아다니는 전문 업체들은 모두 광고성 글이므로 무시하세요)




4. 랜섬웨어 예방방법


앞서 설명드렸듯이 랜섬웨어는 100% 확실한 치료방법이 현재 없습니다.
떄문에 예방법이 유일한 수단으로 알려져있기에 철저한 예방으로 랜섬웨어를 사전에 예방하시기 바랍니다.

 

- 백업 : 중요한 파일은 다른 PC나 외장하드 디스크에 백업해둡니다.
- 백신, OS 업데이트 : 윈도우나 백신의 업데이트는 필수입니다.
(윈도우 업데이트는 이유없이 권하지 않습니다. 대부분이 필수적인 부분이기에 꼭 하세요)
- 불필요한 프로그램 삭제 : 액티브 X는 물론 사용하지 않는 불필요한 프로그램을 수시로 체크하여 삭제 하세요
- 애드블록 프로그램 설치 : 크롬, 파이어폭스 등 확장프로그램 중 애드블록이라고 사전에 랜섬웨어 스타일을 차단하는 기능을 가진 확장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이를 찾아 설치하세요

 

※ 추천 : 안티 랜섬웨어 프로그램 설치
안티 멀웨어(ANti-Malware) 프로그램으로 유명한 멀웨어바이트(Malwarebyte)사에서 랜섬웨어를 사전 차단할 수 있는 보안 프로그램 '안티 랜섬쉐어' 베타 버전을 배포하고 있습니다.

랜섬웨어 특유의 행동 양식을 검출하는 방식으로 사전 차단할 수 있으며, 기존 안티바이러스의 휴리스틱 검진이나 평판 진단 기능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프로그램 자체가 가벼우며, 기존 사용중인 안티바이러스 백신 프로그램과 동시에 사용해도 충돌이 없습니다.

랜섬웨어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윈도우 UAC와 더불어 안티 랜섬웨어 프로그램으로 랜섬웨어를 완벽에 가깝게 예방할 수 있겠습니다.

 

 

[링크]

https://malwarebytes.app.box.com/s/znlajk1tlmzbm2x3vb4enkik7lreqxd9





 

 




사실 저는 개인용PC든 업무용PC든 백신 프로그램을 쓰지 않습니다. 여타 프로그램들에 비해 PC의 리소스를 많이 잡아먹어 다양한 작업 능률을 떨어뜨리기 때문이었습니다. 바이러스나 악성코드가 걸리면 포맷을 하곤했죠 하지만 그런 저의 회사 PC도 작년 이맘때 랜섬웨어에 감염되어 10여년 넘는 사업자료를 대부분 날려먹게 되었는데요. 다행히 백업은 있어서 큰 피해는 면했지만 항상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혹시 나도? 했다가 걸렸을때는 이미 늦었다는거 사전 예방으로 본인의 PC를 스스로 지키시기 바랍니다.